제목 : | 대한민국의 영토 을릉도와 독도의 연대기 ("독도로가는아름다운여행" 카페에서 펌) |
작성자 :박성우 작성일 :10-05-02 18:37 조회 : 5,097회 댓글 : 0건 |
512년 (신라 지증왕13)
이사부가 우산국을 복속.
930년 (고려 태조13)
우릉도에서 고려에 특산물을 헌상.
1018년 (고려 현종9)
여진족 침략으로 우산국이 황폐해지자 고려 조정에서 농기구 하사.
1407년 (조선 태종7)
무릉도 거주민에게 육지로 나올 것을 명령.
1410년 (조선 태종10)
쓰시마에서 일본인들의 무릉도 이주를 허용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거부.
1416년 (조선 태종16)
김인우를 ‘무릉등처안무사’로 삼아 울릉도에 파견.
1429년 (조선 세종11)
이안경에게 강원도의 요도에 대해 탐문할 것을 지시.
1438년 (조선 세종20)
일본의 침략을 막기 위해 무릉도 탐문 조사 실시.
1454년 (조선 단종2)
<세종실록 지리지>에 우산과 무릉 두 섬은 날씨가 청명하면 바라다 볼 수 있다고 기록.
1470년 (조선 성종1)
삼봉도에 들어간 자들에 대한 탐문을 지시.
※조선왕조실록의 삼봉도 기록은 울릉도와 그 밖의 다른 섬을 가리키는 경우가 섞여있다.
1530년 (조선 중종 25)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우산과 무릉 두 섬에 대해 기록.
1614년 (조선 광해군6)
일본 정부가 울릉도 조사를 위한 입도 허가를 요청했으나 거부.
1618년 (조선 광해군10)
일본 도쿠가와 막부가 서일본 요나고의 상인에게 다케시마(울릉도) 도해 허가 발급.
1661년 (조선 현종2)
일본 도쿠가와 막부가 서일본 요나고의 상인에게 마츠시마(독도) 도해 허가 발급.
1693년 (조선 숙종19)
울산 어부들과 함께 울릉도에 갔던 안용복이 일본인 어부들을 만나 일본으로 납치(1차 도일).
이 사건을 계기로 조선과 일본 사이에 울릉도 분쟁 시작.
1694년 (조선 숙종20)
삼척첨사 장한상을 파견하여 울릉도를 조사. 장한상은 울릉도에서 독도를 조망한 후 보고.
1696년 (조선 숙종22)
안용복이 울릉도에서 일본인을 만나 울릉도와 함께 송도 즉 자산도는 조선 땅이라는 것을 밝히고 도주하는 일본인을 쫓아 2차 도일.
1697년 (조선 숙종23)
일본 막부는 울릉도가 조선 땅이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일본인의 왕래 금지를 지시.
조선 정부는 정기적인 울릉도 순찰을 결정.
1792년 (조선 정조16)
<증보동국문헌비고>에서, 울릉과 우산은 모두 우산국 땅인데 우산은 곧 일본이 말하는 송도라고 기록.
1870년 일본 외무성 직원이 <다케시마, 마츠시마가 조선에 부속하게 된 경위>라는 부제의 보고서를 자국 정부에 제출.
1877년 일본 내무성에서 다케시마와 마츠시마를 자국의 행정구역에 포함시킬지에 대해 질의하자, 내각은 두 섬이 일본과 무관하다고 답변.
1892년 울릉도 검찰사 이규원을 파견하여 울릉도와 송죽도, 우산도 등의 조사. 울릉도 개척을 지시.
1883년 김옥균을 동남제도개척사겸포경등사로 임명, 울릉도와 그 주변의 자원개발과 포경 등에 대해 조사.
1894년 1697년부터 실시해 온 울릉도에 대한 정기 순찰 제도를 폐지.
1900년 10월, 대한제국 칙령 41호 공포. 울릉도를 울도로 고치고 군수를 파견하며 울릉전도, 죽도, 석도를 관할하도록 지정.
1904년 2월, 러일전쟁 발발.
9월, 군함 신고마루가 울릉도 주민을 대상으로 독도에 대한 탐문 조사.
9월, 일본인 어부 나카이 요사부로가 일본정부에 대해 독도를 일본 영토로 편입하고 자신에게 빌려달라는 내용의 청원을 제출.
11월, 일본 군함 쓰시마마루가 독도에 가서 전신소의 설치 가능성 탐사.
1905년 1월, 일본 내각이 다케시마 편입 결정.
7월, 독도에 망루 건설.
9월, 러일강화조약.
1906년 3월, 시마네현 조사단이 독도를 둘러본 후 울릉도 방문
3월, 울릉도 군수 심흥택이 시마네현 조사단으로부터 일본의 영토편입 사실을 전해 듣고 그 사실을 중앙정부에 보고.
1908년 <증보문헌비고>에서 우산도와 울릉도 두 섬이 울도군이 되었다고 기술.
1946년 연합국 최고사령부 지령 제677호에서 울릉도, 리앙쿠르암(다케시마), 제주도를 일본에서 정치 행정적으로 분리시킬 것을 결정.
1952년 1월, 독도를 한국 영토에 포함시킨 해양주권에 관한 대통령 선언(평화선)을 발표.
1953년 4월, 독도의용수비대(대장 홍순칠) 결성, 독도에 상륙.
1954년 8월, 독도에 등대를 설치하고 각국 공관에 통고. 9월, 일본, 독도문제를 국제사법제판소에 제소할 것을 제의했으나 한국정부 거부.
1956년 12월, 독도의용수비대, 경찰에 임무 인계하고 철수.
1965년 울릉군 주민 최종덕 씨가 독도에 들어가 거주하면서 어로활동 시작.
1982년 독도 일원을 ‘천연기념물 336호 독도 해조류 번식지’로 지정.
1991년 12월, 울릉도-독도 간 전화케이블 설치.
1997년 8월, 울릉도에 독도박물관 개관. 독도 접안시설 준공.
1999년 독도의 문화재 명칭이 ‘천연기념물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으로 변경.
2000년 4월 7일 울릉군조례 제1395호로 독도리 신설.
행정구역이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산42~76번지’에서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6번지(분번포함 총 101필지)’로 변경.
[ 독도로가는 아름다운 여행 ] 까페
http://cafe.daum.net/dokdokr
이사부가 우산국을 복속.
930년 (고려 태조13)
우릉도에서 고려에 특산물을 헌상.
1018년 (고려 현종9)
여진족 침략으로 우산국이 황폐해지자 고려 조정에서 농기구 하사.
1407년 (조선 태종7)
무릉도 거주민에게 육지로 나올 것을 명령.
1410년 (조선 태종10)
쓰시마에서 일본인들의 무릉도 이주를 허용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거부.
1416년 (조선 태종16)
김인우를 ‘무릉등처안무사’로 삼아 울릉도에 파견.
1429년 (조선 세종11)
이안경에게 강원도의 요도에 대해 탐문할 것을 지시.
1438년 (조선 세종20)
일본의 침략을 막기 위해 무릉도 탐문 조사 실시.
1454년 (조선 단종2)
<세종실록 지리지>에 우산과 무릉 두 섬은 날씨가 청명하면 바라다 볼 수 있다고 기록.
1470년 (조선 성종1)
삼봉도에 들어간 자들에 대한 탐문을 지시.
※조선왕조실록의 삼봉도 기록은 울릉도와 그 밖의 다른 섬을 가리키는 경우가 섞여있다.
1530년 (조선 중종 25)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우산과 무릉 두 섬에 대해 기록.
1614년 (조선 광해군6)
일본 정부가 울릉도 조사를 위한 입도 허가를 요청했으나 거부.
1618년 (조선 광해군10)
일본 도쿠가와 막부가 서일본 요나고의 상인에게 다케시마(울릉도) 도해 허가 발급.
1661년 (조선 현종2)
일본 도쿠가와 막부가 서일본 요나고의 상인에게 마츠시마(독도) 도해 허가 발급.
1693년 (조선 숙종19)
울산 어부들과 함께 울릉도에 갔던 안용복이 일본인 어부들을 만나 일본으로 납치(1차 도일).
이 사건을 계기로 조선과 일본 사이에 울릉도 분쟁 시작.
1694년 (조선 숙종20)
삼척첨사 장한상을 파견하여 울릉도를 조사. 장한상은 울릉도에서 독도를 조망한 후 보고.
1696년 (조선 숙종22)
안용복이 울릉도에서 일본인을 만나 울릉도와 함께 송도 즉 자산도는 조선 땅이라는 것을 밝히고 도주하는 일본인을 쫓아 2차 도일.
1697년 (조선 숙종23)
일본 막부는 울릉도가 조선 땅이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일본인의 왕래 금지를 지시.
조선 정부는 정기적인 울릉도 순찰을 결정.
1792년 (조선 정조16)
<증보동국문헌비고>에서, 울릉과 우산은 모두 우산국 땅인데 우산은 곧 일본이 말하는 송도라고 기록.
1870년 일본 외무성 직원이 <다케시마, 마츠시마가 조선에 부속하게 된 경위>라는 부제의 보고서를 자국 정부에 제출.
1877년 일본 내무성에서 다케시마와 마츠시마를 자국의 행정구역에 포함시킬지에 대해 질의하자, 내각은 두 섬이 일본과 무관하다고 답변.
1892년 울릉도 검찰사 이규원을 파견하여 울릉도와 송죽도, 우산도 등의 조사. 울릉도 개척을 지시.
1883년 김옥균을 동남제도개척사겸포경등사로 임명, 울릉도와 그 주변의 자원개발과 포경 등에 대해 조사.
1894년 1697년부터 실시해 온 울릉도에 대한 정기 순찰 제도를 폐지.
1900년 10월, 대한제국 칙령 41호 공포. 울릉도를 울도로 고치고 군수를 파견하며 울릉전도, 죽도, 석도를 관할하도록 지정.
1904년 2월, 러일전쟁 발발.
9월, 군함 신고마루가 울릉도 주민을 대상으로 독도에 대한 탐문 조사.
9월, 일본인 어부 나카이 요사부로가 일본정부에 대해 독도를 일본 영토로 편입하고 자신에게 빌려달라는 내용의 청원을 제출.
11월, 일본 군함 쓰시마마루가 독도에 가서 전신소의 설치 가능성 탐사.
1905년 1월, 일본 내각이 다케시마 편입 결정.
7월, 독도에 망루 건설.
9월, 러일강화조약.
1906년 3월, 시마네현 조사단이 독도를 둘러본 후 울릉도 방문
3월, 울릉도 군수 심흥택이 시마네현 조사단으로부터 일본의 영토편입 사실을 전해 듣고 그 사실을 중앙정부에 보고.
1908년 <증보문헌비고>에서 우산도와 울릉도 두 섬이 울도군이 되었다고 기술.
1946년 연합국 최고사령부 지령 제677호에서 울릉도, 리앙쿠르암(다케시마), 제주도를 일본에서 정치 행정적으로 분리시킬 것을 결정.
1952년 1월, 독도를 한국 영토에 포함시킨 해양주권에 관한 대통령 선언(평화선)을 발표.
1953년 4월, 독도의용수비대(대장 홍순칠) 결성, 독도에 상륙.
1954년 8월, 독도에 등대를 설치하고 각국 공관에 통고. 9월, 일본, 독도문제를 국제사법제판소에 제소할 것을 제의했으나 한국정부 거부.
1956년 12월, 독도의용수비대, 경찰에 임무 인계하고 철수.
1965년 울릉군 주민 최종덕 씨가 독도에 들어가 거주하면서 어로활동 시작.
1982년 독도 일원을 ‘천연기념물 336호 독도 해조류 번식지’로 지정.
1991년 12월, 울릉도-독도 간 전화케이블 설치.
1997년 8월, 울릉도에 독도박물관 개관. 독도 접안시설 준공.
1999년 독도의 문화재 명칭이 ‘천연기념물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으로 변경.
2000년 4월 7일 울릉군조례 제1395호로 독도리 신설.
행정구역이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산42~76번지’에서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6번지(분번포함 총 101필지)’로 변경.
[ 독도로가는 아름다운 여행 ] 까페
http://cafe.daum.net/dokdokr